본문 바로가기
이코머니

HK이노엔 맛있게 먹자 2023년 하반기와 2024년

by 프로젝트 A 2023. 10. 4.
반응형

안녕하세요, 프로젝트 A입니다.

HK이노엔 바이오 주

HK이노엔 소개

- HK이노엔은 1984년 제일제당의 유풍제약 인수로 시작한 제약 기업이다.

2014년 CJ헬스케어로 분사하고, 2018년 한국콜마에 인수되었다.

2020년 4월에는 'HK이노엔'이라는 새로운 사명을 발표했다.

- HK이노엔은 전문의약품과 원료의약품, 헬스, 뷰티, 음료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대표적인 제품으로는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케이캡, 숙취해소제 컨디션, 티록신 전구체인 티로그 등이 있다.

- HK이노엔은 혁신적인 연구개발과 글로벌 마케팅 역량을 바탕으로 국내외 시장에서 성장하고 있다.

HK이노엔 오송공장

매출 현황

- 국내 영업이익: 219억 원 전년 동기 대비 36.9% 증가

-> 이는 케이캡의 처방실적 증대와 가다실 등 MSD 백신의 도입 등으로 매출이 크게 증가했기 때문이다.

- 해외 영영이익: 284억 원 전년 동기 대비 13.6% 증가

-> 이는 케이캡의 중국 출시와 중남미 수출 확대 등으로 해외 매출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 연간 총 매출액: 7,698억원으로 전년 대비 28.6% 증가

-> 이는 국내외 시장에서 케이캡의 성장과 백신 사업의 확대 등으로 매출 구조가 다각화되고 수익성이 개선되었기 때문이다.

- 나라별 매출 비중: 2,135억원, 해외 매출액이 2,186억 원으로 각각 전체 매출액의 49.4%, 50.6%를 차지했다. 이는 해외 시장에서의 비중이 크게 늘어난 것을 반영한다.

나라별로 보면 중국이 1,003억원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이어서 미국이 414억 원, 일본이 256억 원, 베트남이 155억 원순으로 매출액을 기록했다.

HK이노엔 수액

HK이노엔을 주목하는 이유

1. 미국 등 해외 시장 침투율 대폭 강화

- HK이노엔은 미국, 유럽, 중동, 동남아 등 해외 시장에서 자체 브랜드와 ODM을 통해 지속적인 성장을 이루고 있다.

- 특히 미국 시장에서는 2019년부터 적용된 미국 보안장비법에 따라 중국산 보안장비가 금지되면서, HK이노엔의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 또한, HK이노엔은 미국 정부 기관과 군사 시설에도 납품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미국 최대의 보안 장비 유통업체인 ADI와 파트너십을 체결하였다.

- HK이노엔은 해외 시장에서의 매출 비중을 지속적으로 높여가고 있으며, 2022년 상반기에는 전체 매출액의 41.9%를 해외 시장에서 거두었다.

종목 토론

2. 종근당 코프로모션 판매계약

- HK이노엔은 2021년 6월에 종근당과 코프로모션 판매계약을 체결하였다.

코프로모션은 HK이노엔이 자체 개발한 코로나19 항체치료제로, 현재 임상 3상 진행 중이다.

- 코프로모션은 중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치료제로, 기존 항체치료제와 달리 중화항체와 중성화항체를 동시에 포함하고 있다.

이는 코로나19 바이러스의 감염력과 복제력을 억제하고, 면역 반응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 종근당은 코프로모션의 국내 판매권을 확보하였으며, HK이노엔은 종근당에게 매출액의 10%를 로열티로 받게 된다.

코프로모션은 올해 말까지 임상 3상을 완료하고, 내년 상반기에 식약처 승인을 받을 예정이다.

기업현황

3. 중국 의료보험 약품 등재

- HK이노엔의 중국 의료보험 약품 등재: HK이노엔은 중국 의료보험 약품에 '아스타진'을 등재했다고 2일 공시했다.

'아스타진'은 홍조류에서 추출한 천연 색소로, 항산화 효과가 뛰어난 식이보충제이다.

- 중국 시장의 중요성 : HK이노엔은 중국 시장을 전략적으로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으며, 의료보험 약품 등재는 중국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HK이노엔은 중국에서 '아스타진'을 판매하기 위해 현지 파트너사와 협력하고 있다.

- HK이노엔의 성장 가능성 : HK이노엔은 '아스타진' 외에도 다양한 천연물 유래의 식이보충제와 건강기능식품을 개발하고 있으며,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연구개발에 힘쓰고 있다. HK이노엔은 올해 매출 목표를 200억 원으로 설정하고 있으며, 의료보험 약품 등재는 이를 달성하는 데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지분현황1.
지분현황2.

4. 미국 파트너인 세벨라는 24년 NDA제출

- HK이노엔의 글로벌 전략: HK이노엔은 케이캡을 중심으로 미국, 유럽, 중국 등 해외 시장에서의 비즈니스를 확대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세벨라와 파트너십을 맺고, 유럽에서는 P1, P2 임상을 생략할 수 있는 특례를 받았다. 중국에서는 의료보험에 등재되어 판매가 증가하고 있다.

- 세벨라와의 협력: 세벨라는 HK이노엔의 미국 파트너사로, 케이캡의 미국 임상과 상용화를 담당하고 있다.

세벨라는 케이캡의 임상 2상을 스킵하고, 임상 3상을 진행할 계획이다. 세벨라는 2024년에 NDA(신약허가신청)를 제출할 예정이다.

- NDA 제출의 의미: NDA 제출은 신약 개발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단계 중 하나이다.

NDA 제출은 임상 결과와 제조 공정 등에 대한 자료를 FDA에 제출하여 신약 허가를 요청하는 것이다.

NDA 제출 후 FDA는 신약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평가하고, 허가 여부를 결정한다. NDA 제출은 신약의 상용화 가능성을 높여주고, 주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재무분석1.


5. K-CAB 중심 수익성 본격화

HK이노엔의 K-CAB은 국내외 시장에서 높은 잠재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 제품은 위식도역류질환치료제로, 특히 중국과 미국 시장에서 큰 성공을 거두고 있습니다. 2022년 상반기 실적을 보면, HK이노엔의 연결 매출액은 16.2% 증가한 4321억 원, 영업이익은 36.9% 증가한 219억 원으로 성장하였습니다.

이러한 성장세는 K-CAB의 매출 고성장과 영업이익 성장에 기인합니다.

재무분석2.


6. 2024년 예상 실적 매출액

HK이노엔의 2024년 예상 실적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현재까지 공개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여러 보고서에서는 HK이노엔의 수익성이 계속 개선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특히 K-CAB의 성장 잠재력과 함께 회사의 기타 사업 부문들도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하반기 3가지 주요 국면

1. K-CAB의 글로벌 확장: K-CAB은 미국에서 임상 2단계를 건너뛰고 임상 3단계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유럽에서도 임상 1단계와 2단계를 생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2. 중국시장 판매 로열티 수령을 통한 영업이익 개선: 중국시장에서 K-CAB 판매로 인한 로열티 수입이 증가하면서 HK이노엔의 영업이익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3. K-CAB 국내 판매조건 재계약: HK이노엔은 올해 하반기에 종근당과 K-CAB의 국내 판매조건에 대한 재계약을 진행할 것입니다. 이 계약을 통해 HK이노엔의 수익성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HK이노엔은 이러한 전략들을 통해 지속적인 성장을 이루어 나갈 것으로 보입니다.

그들의 제품과 서비스는 고객들에게 큰 가치를 제공하며, 이는 회사의 수익성과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이러한 전망은 투자자들에게 HK이노엔이 훌륭한 투자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그러므로, HK이노엔은 앞으로도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을 위해 노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