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pisode.1
신중해야 하나? VS 지금이 기회인가?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지난 금요일에 247.48포인트로 0.7% 상승했다가 0.45% 하락한 채 한 주를 마감했다.
S&P500 지수는 약 0.7% 상승했고, 나스닥은 약 0.9% 상승했다.
CME 그룹의 FedWatch 지난 29일(현지시간) 일요일 저녁 트레이더들은 연준이 다가오는 9월 회의에서
금리 재인상 가능성을 20% 수준으로 예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커먼웰스 파이낸셜 네트워크(Commonwealth Financial Network) 브라이언 프라이스(Brian Price) 투자 관리 책임자는
“연준이 인플레이션이 목표치에 가까워졌다고 확신할 때까지 올해 제한적인 정책을 유지하겠다는 의도는 여전히 유지된다”라고 말했다 ".
그는 ”현시점에서 시장은 연준은 한 번 더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있다고 시장은 믿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8월 마지막 거래 주는 월요일에 시작해 모든 주요 지수가 손실로 한 달을 마무리할 예정이다.
다우지수와 S&P지수는 이달 초부터 각각 3.4%, 4% 하락했고 나스닥지수는 약 5.3% 하락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글로벌 경제는 크게 턴어라운드 하는 전환점으로 향하고 있고, 전체로 보면 올해 상승 가능성이 크다"라고 생각한다.
이어 "국내 증시의 특성상 시장이 크게 하락했을 때 매수해서 기업 실적이 좋게 나오는 시기에 매도해야 성공할 수 있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라고 강조한다.
또한 철학과 전략의 부재 탓에 개인(개미) 투자자가 반복적으로 실패한다.
"(개인(개미) 투자자가 실패하는 이유는) 기관이나 외국인들에 비해 주식시장에서 불안을 조장하는 노이즈로부터
(시장에 불안을 조성하는 악의 집단) 상대적으로 많은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시황에 단기적으로 휩쓸리지 않으려면 자신만의 투자 철학을 정립한 후 이를 고수하는 전략을 가져야 한다"
Episode.2
불안한 중국시장 휘말리지 마라
부동산 위기를 비롯한 중국 경제의 각종 악재 속에 주식시장도 침체에 빠진 상황에서
관영 매체가 자국 주식이 저평가 상태라며 투매 자제를 당부하고 나섰다.
이어 "잇단 증시 안정 정책에도 비관적인 정서가 만연하고,
시장은 살얼음판을 걷는 분위기"라며 "경영진의 주가 방어 정책조차 외면받고 있다"라고 전했다.
현재 상하이 종합지수의 주가수익비율(PER)은 11배, 상하이선전 300 지수는 10.8배에 불과해 저평가 상태이며
상하이 종합지수가 1,664를 기록했던 글로벌 금융 위기 2008년 10월 말 기준 상하이 종합지수의 PER 13배,
상하이선전 300의 PER 12.8배보다도 낮다는 것이다.
또한 배당률이 3% 이상인 상장사가 450여 개에 달하고, 이들 고배당 상장사의 시가총액이 20조 위안(약 3천600조 원)에 달해
중국 본토 주식시장의 견고한 방어선을 구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고배당에 저평가된 데다 높은 순자산 수익률을 갖춘 이런 우량 상장사들로 인해 중국 본토 주식의 추가 하락 공간은 제한적이라며
"투자자들은 부정적인 뉴스에 휘둘리지 말아야 한다"
이 매체는 "일부 투자자들은 중국의 '시스템적인 위기'를 우려하지만, 가치투자자들은 바로 이때 도처에 황금이 널려 있음을 알 것"이라며
"주식시장의 승자는 좋은 회사의 주식을 쌀 때 용기를 내 매수해 장기 보유하는 것"
최근 중국 대형 부동산 개발업체 비구이위안이 채무불이행(디폴트) 위기에 처한 것을 계기로 중국의 부동산 위기가 재부각되고,
중국 경제 전반에 전이될 수 있다는 우려가 확산하면서 중국 증시가 급락했다.
외국인들은 중국 증시에서 지난 23일까지 13일 연속 순매도해 역대 최장 순매도 기간을 기록 중이다.
- 외국인들은 중국 증시에 대해 매우 부정적으로 보고 있다 -
※ 중국 정부는 증시 부양을 위해 0.1%였던 주식거래 인지세를 이날부터 절반으로 인하했다.
주식거래 인지세 인하는 금융 위기 때인 2008년 이후 처음
1. 인지세 인하 배경
중국 정부는 최근 15년 만에 주식시장을 살리기 위해 인지세를 인하하는 결정을 내렸습니다. 이번 조치는 중국 주식시장이 경제 불안과 외환 시장의 변동성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반영한 것입니다.
2. 주식시장의 불안
최근 중국 주식시장은 여러 가지 이유로 큰 변동성을 겪었습니다. 코로나19 팬데믹, 미중 무역 전쟁, 기업들의 부도와 같은 내외적인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시장 안정성을 해치고 있습니다.
3. 외환 시장의 영향
또한, 중국 원화(CNY)가 달러 대비 약세를 보이면서 외환 시장에서의 변동성도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투자자들에게 추가적인 부담을 줄 수 있으며, 그 결과로 주식시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4. 기업 부도와 신용 위기
중국에서 일부 대형 기업들이 연속해서 부도를 선언하면서 신용 위기가 발생했습니다. 이는 투자자들 사이에서 불안감을 확산시키며 주식시장 전반에 거래량 감소와 가격 하락 등의 영향을 미쳤습니다.
5. 정부의 대응책: 인지세 인하
위와 같은 상황 속에서 중국 정부는 투자 활성화 및 시장 안정화를 목표로 하는 다양한 정책 조치를 내놓았습니다. 그중 하나가 바로 15년 만에 결정된 '인지세' 인하입니다.
6. '인지세'란?
'인지세'란 주식 거래를 할 때 발생하는 세금으로, 거래 금액에 따라 일정 비율이 부과됩니다. 이 세금은 거래 비용 증가 및 수익률 감소로 이어져 투자자들에게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7. 인지세 인하의 효과
인지세를 인하함으로써 중국 정부는 주식 거래의 부담을 줄이고 더 많은 투자를 유도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세제 정책 조정은 일반적으로 투자 활성화와 주식시장의 안정화를 통한 긍정적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8. 투자자의 반응
이번 인지세 인하에 대한 투자자들의 반응은 대체로 긍정적이다. 투자 활동에 필요한 비용 감소가 유치된 투자 환경을 만들어 내며 주식시장에 재기를 불어넣을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을 키웠다.
9. 전망
인지세 인하는 당장의 주식시장 안정화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중장기적으로 보면 그 효과는 제한적일 수 있다. 시장의 변동성을 일으키는 다양한 요인들은 여전히 존재하며, 이들 부정적 요인을 해결하는 것이 중국 주식시장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본질적인 과제이다.
10. 글로벌 영향
중국은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경제체이며, 주식시장의 동향은 전 세계 경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중국의 인지세 인하는 글로벌 금융시장에도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결론적으로, 중국이 15년 만에 주식시장을 살리기 위해 인지세를 인하한 결정은 그동안의 경제적 어려움과 시장의 불안요인을 고려하며 이루어진 중요한 조치입니다. 이 조치는 단기적으로는 주식시장에 안정감을 되찾아 주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겠으나, 여전히 중국의 주식시장과 경제 전반에는 복잡한 도전과제들이 존재합니다. 때문에, 더욱 포괄적인 대책과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잊지 말아야 할 것입니다.
2023년 주식 투자 1위 키워드로 주목받는 '6대 섹터'
1. 방사선 측정 테마주
①Thermo Fisher Scientific Inc.(NYSE: TMO): 과학 연구 서비스를 제공하는 미국의 다국적 기업입니다.
이 회사는 방사선 감지 및 측정 장비를 포함한 다양한 과학 연구 장비와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②Mirion Technologies (NYSE: MIR): 방사선 감시 및 보호 설루션을 제공하는 전문 회사입니다.
이 회사의 제품은 핵발 전소, 병원, 연구소 등에서 사용됩니다.
③Fortive Corporation (NYSE: FTV):다양한 산업용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설루션을 제공합니다.
이 중 Fluke Biomedical이라는 자회사를 통해 방사선 안전 및 품질 관리 설루션을 개발하고 판매하고 있습니다.
④Polimaster Ltd: 벨라루스에 본거지를 두고 있는 회사로서,
핵 및 방사능 감시 장비의 설계와 생산에 전문화되어 있습니다.
⑤Ludlum Measurements, Inc: 방사선탐지기와 계측기를 생산하는 미국의 기업입니다.
2. 핵오염수와 핵폐기물 처리 테마주
①Veolia (EPA: VIE): 이는 폐수 처리, 폐기물 관리, 에너지 서비스를 포함하며
핵폐기물 처리 분야에서도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②Fluor Corporation (NYSE: FLR): 세계적으로 엔지니어링, 구매, 건설, 유지 보수 및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를 제공합니 다. 핵폐기물 관리와 오염 정화 분야에서 광범위한 경험을 가지고 있습니다.
③Perma-Fix Environmental Services Inc.(NASDAQ:PESI):
방사성 및 혼합 폐기물 처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미국의 기업입니다.
④EnergySolutions (Private): 원자력 발전소 해체 및 복원, 핵연료 저장 시설 운영 등을 포함하여 핵 에너지 산업의 전 범위에 걸친 서비스를 제공하는 미국 기반의 회사입니다.
⑤Studsvik AB (STO: SVIK B) : 스웨덴의 전 세계적으로 원자력 산업에 대한 다양한 지원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그중 하나가 방사성 물질의 안전한 처분과 재활용을 위한 설루션을 개발하고 구현하는 것입니다.
3. 염업(소금 생산)
①신세계 I&C (KRX: 035510): 천일염 브랜드를 통해 다양한 종류의 소금 제품을 생산하고 판매합니다.
②Cargill (Private): Cargill은 세계 최대의 기업 중 하나로, 미국 기반입니다.
이 회사는 음식 서비스, 식품 제조 및 유통 산업에 필요한 다양한 종류의 소금을 공급합니다.
③K+S AG (ETR: SDF): 독일 본사이고, 세계적으로 알려진 소금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④Compass Minerals International (NYSE: CMP):
주로 도로 안전용 염화칼슘 및 염화나트륨과 같은 겨울철 도로 처리제를 생산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⑤Tata Chemicals Ltd (NSE:TATACHEM) :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화학제품과 함께 소금을 생산하는 기업입니다.
4. 담수 양식(수산물)
①Mowi ASA (OSE: MOWI): 세계 최대의 연어와 트라우트 양식 회사로서, 노르웨이에 본사를 두고 있습니다.
②Lerøy Seafood Group (OSE: LSG): 다양한 종류의 해산물과 담수 양식 생선을 제공하는 노르웨이의 기업입니다.
③Tassal Group Limited (ASX: TGR):
호주에서 대형 연어 양식 사업을 운영하며, 지속 가능한 해양 및 담수 환경에서 수산물을 재배합니다.
④AquaBounty Technologies Inc.(NASDAQ:AQB) : 유전자 조작 생선인 '아쿠아아드밴티지 삼치'를 개발하고 상용 화하 기 위해 설립된 미국 기반의 바이오테크 회사입니다.
⑤Cooke Aquaculture Inc.(Private) : 전 세계적으로 해양 및 담수에서 다양한 종류의 수산물(삼치, 까나리 등)을 재배하는 가족 소유의 회사로 캐나다에 본부가 있습니다.
5. 에너지 테마주(친환경)
①SK이노베이션 (KRX: 096770): 한국의 주요 에너지 회사로, 정유 및 석유 화학 제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 회사는 전기차 배터리 사업을 통해 미래의 청정에너지 시장으로 진출하고 있습니다.
②Exxon Mobil Corporation (NYSE: XOM): 세계 최대의 공공석유 및 가스 회사 중 하나로,
석유 추출, 제조, 판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③Vestas Wind Systems A/S (CPH: VWS) : 전 세계에서 가장 큰 풍력 발전 설비 제조회사 중 하나로서,
재생 가능 에너지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④Tesla Inc.(NASDAQ:TSLA) : 전기차와 에너지 저장 시스템 제조에 초점을 맞춘 미국의 기업입니다.
이 회사는 태양광 발전과 관련된 설루션도 제공하며 지속 가능한 에너지 산업의 성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⑤NextEra Energy Inc.(NYSE:NEE) : 미국 내 최대 규모의 바람과 태양에 의한 발전량을 보유하는 기업으로서
재생 가능 에너지 사업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6. 자동차 배터리와 첨단 소재 테마주
▣ 전기 자동차 배터리 회사
①LG화학 (KRX: 051910): 전 세계적으로 뛰어난 전기차 배터리를 생산하는 한국의 주요 기업 중 하나입니다.
②삼성 SDI (KRX: 006400): 역시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춘 한국의 대표적인 기업입니다.
③Panasonic Corporation (TYO: 6752): 테슬라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전기차 배터리 분야이며 일본의 기업입니다.
④CATL (SHE: 300750): 중국의 선두 주자로, 전 세계에서 가장 큰 전기차 배터리 제조사 중 하나입니다.
⑤SK이노베이션 (KRX:096770) : 리튬이온 배터리 제조하는 회사로 전기차 시장에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 첨단 소재 회사
①POSCO (KRX: 005490): 스테인리스 강, 전기 강 등 다양한 첨단 소재를 생산하는 한국의 대표적인 강철 기업입니다.
②BASF SE (ETR: BAS): 다양한 고성능 소재를 생산하고 개발하는 독일의 화학 기업입니다.
③Corning Incorporated (NYSE: GLW): 가정용품에서 고성능 디스플레이,
통신 네트워크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고급 소재를 제조하는 미국의 기업입니다.
④3M Company (NYSE: MMM): 전자부품에서 헬스케어,
자동차 분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첨단 소재를 제공하는 미국의 다국적 기업입니다.
⑤금호석유화학 (KRX:011780): 고무, 타이어, 전선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사용되는
고성능 합성수지 제품을 생산하는 한국의 기업입니다.
'이코머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가 쇼크와 중국 제재, 공포 치솟은 9월 증시의 현주소" (0) | 2023.09.08 |
---|---|
1억 넣으면 10년 뒤 1.4억? 개인도 국채 한다. (0) | 2023.09.06 |
전세자금 최대1억3천까지 LH대출 기회입니다. (0) | 2023.09.04 |
제2의 IMF 위기 "빚내서 집 사는 세상" (0) | 2023.09.03 |
머스크, 트위터 인수 전말 (0) | 2023.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