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프로젝트 A입니다.
골드만 삭스 오히려 기회하고 말하다.
삼성전자 주가가 6만원대로 하락한 가운데, 골드만삭스는 삼성전자 목표주가를
9만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골드만삭스는 삼성전자의 반도체,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등 주요 사업 부문의 성장성과 수익성을 강조하며, 삼성전자가 AI 반도체 시장에서도
선도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번 주가 하락은 오히려 매수기회로 볼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골드만삭스의 목표주가 상향 조정 이유
●골드만삭스는 삼성전자의 2023년 EPS(주당순이익) 전망치를 7,500원에서 8,000원으로,
목표주가를 8만5,000원에서 9만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골드만삭스는 삼성전자의 반도체
부문이 메모리와 시스템반도체 모두에서 강력한 수요와 가격 상승을 겪고 있으며,
스마트폰 부문은 갤럭시S24 시리즈의 성공적인 출시와 중저가 스마트폰의 판매량 증가로
호조를 이어갈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한, 골드만삭스는 삼성전자의 디스플레이 부문이 OLED 패널의 수요 증가와
LCD 패널의 가격 상승으로 실적 개선을 보일 것이라고 예상했다.
●골드만삭스는 삼성전자가 AI 반도체 시장에서도 선도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골드만삭스는 삼성전자가 메타버스, 자율주행, 클라우드 등 AI 관련 서비스에 필요한
AI 반도체를 개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차별화된 제품과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삼성전자 주가 하락의 원인과 전망
● 삼성전자 주가는 2023년 4월 7일에 8만3,000원까지 상승한 후에 하락세에 접어들었다.
2023년 9월 22일에는 6만2,900원까지 떨어져 올해 최저치를 기록했다.
◐ 삼성전자 주가 하락의 원인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지적된다.
-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테이퍼링 신호로 인한 글로벌 증시의 약세
- 중국의 부동산 거물 에버그란데(恒大)의 부실 우려로 인한 중국 증시의 급락
- 코로나19 확산 재개로 인한 경기 둔화 우려
- 삼성전자의 3분기 실적이 시장 예상치에 미치지 못할 것이라는 전망
● 그러나 삼성전자 주가 하락은 일시적인 현상일 뿐, 장기적으로는 상승세를
이어갈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다음과 같은 이유들이 그러한 의견을 뒷받침한다.
- 삼성전자의 주요 사업 부문인 반도체,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등이 강세를
보이고 있으며, 신사업 부문인 AI 반도체, 바이오 등에도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 삼성전자의 배당수익률이 3%를 넘어서고 있으며,
배당 정책의 개선과 주식분할 등을 통해 주주 가치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 삼성전자의 주가가 역사적으로 낮은 수준에 있으며, 주가-순자산비율(PBR)이
1배 아래로 내려가면서 매수시점으로 볼 수 있다.
AI 반도체 시장의 동향과 삼성전자의 위치
● AI 반도체 시장은 인공지능 서비스의 확산과 함께 급속히 성장하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가트너는 AI 반도체 시장 규모가 2023년에 343억 달러에서
2025년에 711억 달러로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AI 반도체 시장은 GPU, FPGA, ASIC, 뉴로모픽 등 다양한 유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장단점에 따라 다른 용도로 활용된다.
GPU는 병렬 연산 처리에 강점을 보이며, FPGA는 회로 재구성이 가능해
유연성이 높다. ASIC은 특정 목적에 최적화되어 고효율을 보이며,
뉴로모픽은 인간의 뇌 구조를 모방하여 에너지 효율이 뛰어나다.
● 삼성전자는 AI 반도체 시장에서도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메타버스, 자율주행, 클라우드 등 AI 관련 서비스에 필요한
AI 반도체를 개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차별화된 제품과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된다.
●삼성전자는 GPU와 ASIC 형태의 AI 반도체를 모두 개발하고 있다.
GPU는 엔비디아와 AMD와 협력하여 공급하고 있으며, ASIC은
자체 개발한 NPU(신경망 처리 장치)를 스마트폰과 서버에 탑재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NPU 성능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키고 있으며, 최근에는 인공지능
연구소인 SAIT(삼성첨단기술연구소)에서 차세대 AI 반도체인
PIM(처리 내 메모리)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삼성전자의 AI 반도체 전략과 비전
●삼성전자는 AI 반도체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다양한 전략과 비전을 수립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AI 반도체의
설계, 제조, 패키징, 테스트 등 전 공정을 원스톱으로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삼성전자는 AI 반도체의 성능과 효율을 높이기 위해 차세대
공정 기술인 EUV(극자외선)와 GAA(문턱없는 게이트 올 어라운드)를
개발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2023년에 3나노미터 공정 기술을 상용화할
계획이며, 이를 통해 AI 반도체의 소비전력과 칩 크기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삼성전자는 AI 반도체의 다양한 용도와 요구사항에 맞게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파운드리 사업부와 시스템반도체 사업부를 분리하고 있다.
파운드리 사업부는 엔비디아, AMD, 퀄컴 등 외부 고객에게 고품질의 반도체 제조
서비스를 제공하며, 시스템반도체 사업부는 삼성전자 내부의 스마트폰, TV, PC 등에
필요한 반도체를 개발하고 있다.
삼성전자 주가 상승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
◐삼성전자 주가 하락은 일시적인 현상일 뿐, 장기적으로는 상승세를
이어갈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의견이 다수 나오고 있다. 다음은 그러한 의견들의 일부이다.
▣이재윤 NH투자증권 연구원
"삼성전자 주가 하락은 글로벌 증시의 약세와 중국 경제 불안 등
외부적인요인에 따른 것으로, 내부적인 요인은
오히려 호조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삼성전자의 3분기
실적은 메모리 가격 상승과 스마트폰 판매량 증가로시장
예상치보다 높게 나올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김동원 IBK투자증권 연구원
"삼성전자 주가 하락은 테이퍼링 우려와 에버그란데 부실
문제 등으로인한 장기 자금의 유출로 인한 것으로,
단기적인 변동성일 뿐이다"고 말했다. 그는 "삼성전자는
메모리와 시스템반도체 부문에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스마트폰과 디스플레이 부문에서 신제품 출시와 수요 회복으로
실적 개선을 보일 것이다". 고 전망했다.
▣박상현 하나금융투자 연구원
"삼성전자 주가 하락은 역사적으로 낮은 수준에 도달했으며,
주가-순자산비율(PBR)이 1배 아래로 내려가면서
매수시점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삼성전자는
배당수익률이 3%를 넘어서고 있으며, 배당 정책의 개선과
주식분할 등을 통해 주주 가치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고 강조했다.
삼성전자의 주가 변동과 AI 반도체 전략
삼성전자 주가가 6만원대로 하락한 가운데, 골드만삭스는 삼성전자 목표주가를 9만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골드만삭스는 삼성전자의 반도체,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등 주요 사업 부문의 성장성과 수익성을 강조하며, 삼성전자가 AI 반도체 시장에서도 선도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번 주가 하락은 오히려 매수기회로 볼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삼성전자는 AI 반도체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다양한 전략과 비전을 수립하고 있으며, 전문가들은 삼성전자 주가의 장기적인 상승세를 예상하고 있다.
'이코머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파트 청약 당첨자 비중 증가 및 생애 첫 집 매수 급증 (0) | 2023.09.26 |
---|---|
큐렉소 주식 포함 로봇주들 글로벌 시장 장악한다. (0) | 2023.09.25 |
부동산 경매를 통해 개인 매매 사업자로서 고수익을 내는 방법 (0) | 2023.09.22 |
요즘 뜨는 핫한 보험 TOP5 소개 (0) | 2023.09.21 |
실리콘투 주가 폭등에 방긋...해외수출 활발 (0) | 2023.09.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