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코머니

배당 자율화 보장한다. 금융사 PBR 지나치게 낮아 시장 친화적 방식으로 높일것

by 프로젝트 A 2023. 9. 17.
반응형




안녕하세요. 프로젝트 A입니다.

※ PBR이란

주가자산 비율이라는 것인데 주가를 주당순자산으로 나눈 수치이다.

주당순자산(BPS)은 자기 자본을 발행주식으로 나눈 값으로 기업이 청산했을 때 손에 쥘 수 있는 금액이라는 의미에서 청산가치라고 할 수 있다. PBR이 1보다 낮을 경우 주당 순자산에 비해 주가가 저평가되었다고 한다.

반대로 1보다 클 경우에는 주당순자산에 비해 주가가 고평가 되어 있다고 한다. 따라서 PBR이 1보다 낮은 저평가 종목을 자산가치 우량주라고 하지요.

금융사의 PBR 개선과 배당 자율화

한국의 금융사들은 주가순자산비율 (PBR)이 지나치게 낮다는 점을 인지하고 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이 중 하나로, 금융사의 배당 자율성을 보장하는 방안이 제시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시장 친화적인 방식으로 PBR을 높이려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금융 시장 친화적인 정책 변화

감독원은 금융사들이 어느 정도의 자본 확충 능력을 전제로 배당 자율성을 보장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강조하였습니다.

이는 금융사들이 시장 친화적인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변화는 한국의 금융산업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대한 이해는 향후 금융시장의 동향을 예측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한국 금융사의 PBR과 배당 자율화

현재 한국 금융회사의 PBR은 0.3~0.4배 수준에 불과하며, 이는 글로벌 주요 은행의 PBR인 1배를 크게 밑돌고 있습니다. 이는 한국 금융회사들이 저평가되었다는 지적을 받고 있습니다. 특히, 외국 증권사 관계자들은 한국 금융회사들이 배당을 할 펀더멘털이 충분한데도 감독당국의 안정성 요구로 배당을 하지 않고 있다는 의심을 가지고 있다고 말하였습니다.

금감원은 잠재적 주주들이 실제 배당액과 배당 여부 등을 공표한 이후에 투자할 수 있도록 제도를 바꾸기도 하였습니다. 이는 주주친화정책을 할 수 있도록 일관되게 자율성을 보장하겠다는 의미입니다. 또한, 한국 금융회사에 대한 영업 제약 규제도 완화하겠다고 약속하였습니다.

"금융감독원의 변화와 그로 인한 한국 금융산업에 대한 영향"

금감원의 이러한 변화는 한국 금융산업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금융사의 배당 자율성을 보장함으로써 시장 친화적인 방식으로 PBR을 높이려는 노력은 한국 금융시장에 새로운 동향을 만들어낼 것입니다. 앞으로도 금감원은 주주친화정책을 일관되게 보장하며, 한국 금융회사들이 시장 친화적인 방식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입니다.

반응형